2022. 8. 10. 13:26ㆍ비즈니스 탐색/사회적경제·소셜벤처

목차
1. 들어가기
- 해외 도시양봉 사례
- 국내 도시양봉, 어반비즈서울
2. 이해 / 소셜벤처 정의
- 사회문제로 시작하는 비즈니스 소셜벤처
3. 생각 / 소셜미션 세분화
- 소셜미션을 위한 방향성
- 소셜미션 세분화 사고
2021년 기준, 서울시내 공원과 자치구 텃밭양봉장 등 24개소에 약 332통의 봉군이 있다. 도시양봉이란? 도심 건물, 옥상, 공원, 텃밭 부지를 활용하여 여가와 취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양봉이다. 도시의 사육환경 도시는 고온 건조한 기후와 다양한 밀원 식물이 있고, 농촌에 비해 농약의 위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여 양봉에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꿀벌의 활동으로 도시에 꽃들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곤충과 소형 새들의 유입으로 도시 생태계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1. 들어가기
해외 도시양봉 사례
로컬 푸드, 도시 환경 개선, 지역 일자리 창출
일본 | 간지 꿀벌 프로젝트 | 꿀벌 뮤지컬 마츠야 백화점 상품 기획전 베이커리 공동제작 카스테라 벌꿀 비누 등 |
덴마크 | 도시 양봉 단체 Bybi(뷰비) | 실직자, 노숙자, 알코올/약물 중독자 고용 벌통 제작 일자리 포장작업 |
미국 | Best Bees 기업 | 도시 생태계 분석 위탁 양봉 |
국내 도시양봉, 어반비즈서울
국내 도시양봉의 선구주자인 어반비즈서울도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양봉을 시작하는데도 1년 가까이 설득작업을 벌였다. 도시양봉을 통해 도시 생태계 복원에 일조하기 위해 긴자의 도시양봉 케이스처럼 꿀을 채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변 건물 옥상을 녹화작업을 함께 병행하기로 하였고, 꾸준한 관리를 통해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피해를 주지 않겠다는 약속을 한 후 양봉통을 설치하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서울에는 총 11개의 도시양봉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 중 8개를 어반비즈서울이 운영하고 있다. 어반비즈서울은 도시양봉가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양봉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가공품 생산, 다양한 문화/커뮤니티 활동 등을 함께 진행하면서 문화와 환경, 도시농업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이해 / 소셜벤처 정의
사회문제로 시작하는 비즈니스 소셜벤처
한경경제용어사전에 따르면 소셜벤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사회적기업가가 설립한 기업 또는 조직을 말한다.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이익보다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일반 벤처기업과 다르며 소셜벤처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일반 기업과 같은 영업을 통해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한다. 즉 빈곤과 불평등, 환경 파괴, 교육 격차 등을 해소하면서도 사업을 지속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창업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고민에서 출발한 기업이며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비즈니스모델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3. 생각 / 소셜미션 세분화
소셜미션을 위한 방향성
꿀벌에 대한 인식이 낮은 단계 : 관심 / 재미 / 꿀벌 자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방향성으로 나아가보자. 인간 생존권 문제에 영향이 있다는 문제 / 자연생태계에서 스스로 살아갈 수 없는 에코시스템을 순환시켜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큰 영향은 아니지만 지구의 온도의 저항선을 낮추는 점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도시꿀벌 매개를 통해서 캠페인의 인사이트를 주고 사람들에게 활동을 전재해볼 수 있다.
파일럿 프로젝트 기록_환경인식 개선을 위한 서비스 모델
도시양봉에 대한 인식개선을 통한 도시 양봉과 지역 주민들과의 상생 풀고자하는 문제 정의(안) 기후위기 시대에 인간의 생명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OOO회사이다. - 한문장으로 정의 / 환경문
jangseonmi.tistory.com
(사회문제)를 지닌 (수혜자)를 위해 (솔루션)방법으로 해결한다.
Ex_ 주거취약계층 청년을 위한 쉐어하우스 설립으로 저비용 주거공간을 마련한다.
Ex_ 취약계층 노숙인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자활프로그램 지원으로 스스로 일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한다.
Ex_ 소외된 다문화국민이 자신의 고향을 소개하는 공정여행 플랫폼을 통해 문화인식을 개선하다.
소셜미션 세분화
생태문제 ‘꿀벌 개체수 감소가 문제가 된다’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생존권 문제에 영향이 있다는 문제 / 자연생태계에서 스스로 살아갈 수 없는 에코시스템을 순환시켜주는 역할에서 시작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순환시스템 파괴문제에 있어서 꿀벌생존, 을 위해 도시양봉*인식개선 방법으로 해결한다.
* 도시에서 꿀벌을 기르는 활동으로 유럽에서 처음 시작된 환경보전 캠페인 / 꿀벌 군집붕괴 현상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 100대 농장물 63%가 꿀벌매개로 열매를 맺고, 꽃가루 매개 곤충멸종으로 인간생존위협,과채생산 감소의 문제를 야기한다.
구분 | 예상행동 | 해결 방법 제시하기 |
사회문제 및 이해관계자 | 이 경험단계에서 이해관계자의 행동으로 예상되는 것은 무엇인가? | 해결 가능한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
이에스지(ESG) 지속가능성 이해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각 국가의 실천노력이 요구된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80여 개국 이상이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국가 차원에서의 계획과 정책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즈니스 탐색 > 사회적경제·소셜벤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축제 문화기획에 대한 개념 (0) | 2022.06.16 |
---|---|
비영리단체와 스타트업 차이부터 제대로 이해하고 가야지 (0) | 2022.06.14 |
[동국대학교] 사회적경제 리더과정 - 준비 / 셀프스터디 / 생각 (0) | 2022.06.13 |
문화기획 아카데미 | 지속가능한 문화기획 | 지속가능한발전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