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24. 19:35ㆍ비즈니스 탐색/사회적경제·소셜벤처
[금천시민문화기획 아카데미/하모니 캠퍼스]
지속가능성 / 금천구 시민문화기획자 양성 기본과정(16H) 교육이수 완료!
1강 (4.5) | 시민문화기획자의 역할과 비전 - 문화기획의 이해, 시민기획자 활동 사례 |
2강 (4.12) | 금천에서 예술하기 - 금천을 문화예술로 접근하다 |
3강 (4.19) | 금천구 지역의 문화적 이해 - 금천구 지역이야기 |
4강 (4.26) | 지역의 시민기획단의 역할 - 청년과 도시, 기획하기 |
5강 (5.3) | 지역축제와 문화적 상상력 키우기 - 축제 속에서 바라보는 다양한 문화적 키워드 |
6강 (5.10) | 지역기반 문화예술 활용전략 - 로컬크리에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
7강 (5.17) | 지역을 변화시키는 문화기업가들의 힘 - 123사비공예클러스터 협업체제의 기획 및 운영 |
8강(5.24) | 지속가능한 문화기획을 위한 기획의 차별화 - 지속가능이벤트매니지먼트의 적용과 시사점 |
지속가능한발전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시간.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용어는 1987년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발표한 보고서인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에서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이라고 정의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된다.
지속가능발전 담론은 이후 시대적 조류와 국제사회 공통의 노력을 통해 더욱 구체화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제정된 지속가능발전법에서 해당 개념을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ㆍ사회ㆍ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않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을 뜻하는 지속가능성 개념에 기초하여 경제의 성장, 사회의 안정과 통합 및 환경의 보전이 균형을 이루는 발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극심한 기후변화, 대한민국 면적 15배에 달하는 플라스틱섬, 6번째 대멸종에 대한 우려. 오늘날 지구는 긴박한 환경위기 속에 놓여있습니다. 하지만 지구촌 77억 60%는 여전히 극심한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발전을 멈출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 경제발전이 화석연료에 기반한 기존의 개발방식이라면 지금도 이미 한계에 다다른 지구생태계가 그 부담을 견딜 수가 없겠죠.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란 현재 세대가 여러 가지 발전을 진행하면서도 미래 후손이 발전할 가능성을 보호하는 형태의 발전을 가리켜요(1987, UN보고서).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ㆍ사회ㆍ환경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현재 우리 세대에서 ‘경제 성장’, ‘사회 안정과 통합’, ‘환경 보전’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통합적으로 추구.
내용출처 : 지속가능발전포털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각 국가의 실천노력이 요구됩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80여 개국 이상이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국가 차원에서의 계획과 정책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속가능발전법」 제14조에 의거, 지속가능발전을 평가하는 국가 보고서가 작성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법」 시행령 제 12조(지속가능성보고서의 작성)로 정하고 있는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아래 보고서를 참고해보자.
- 2019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보고서
- 2019 Report on Korean-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 제4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2021-2040)
지속가능성 이슈 발견하기
□ 목 적
문화기획(축제∙공간∙행사)를 기획, 제작, 운영할 때 환경적∙사회적 측면에서 발생가능한 부정적인 요인들을 사전에 파악하여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함으로 부정적인 영향(negative impact)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 미 션
아래에 분야별로 나오는 지속가능성 이슈(질문)들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직접적인 업무나 타인/타부서의 관찰가능한 활동영역에서 발생가능한 이슈를 최소 3~5개 이상 작성해 주세요.
(예시1) 행사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X-배너를 행사장 곳곳에 배치하려고 한다.
(예시2) 예술가/관람객들에게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을 제공하려고 한다.
지역문화기획 교육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이슈를 발견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운영방식에서 사회적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생각해볼 시간이었고, 사회적, 환경적인 문제에서 뽑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본다.
나의 개인적인 관심과 고민의 양상은 아래와 같다.
ESG 깊이 이해하자.
SEE 관점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개념을 쌓자.
플라스틱 및 일회용품에 대한 거부반응 : 외부영향
책 ( Even Sustainability ) 참고하자.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 활동을 위해 지속 가능한 시스템 구축방안이 무엇이 있나.
이산화탄소(CO2) 배출절감
지속가능성 감독 : 부정적 요소 제외 (Ex_행사 내역중에 저탄소,친환경 부분으로 재검토)
'비즈니스 탐색 > 사회적경제·소셜벤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지속가능성 이해부터 소셜벤처 미션까지 어떻게 접근해볼까 (0) | 2022.08.10 |
---|---|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축제 문화기획에 대한 개념 (0) | 2022.06.16 |
비영리단체와 스타트업 차이부터 제대로 이해하고 가야지 (0) | 2022.06.14 |
[동국대학교] 사회적경제 리더과정 - 준비 / 셀프스터디 / 생각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