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5)
-
넥스트온 | 세계 최대 식물공장 | 인터뷰 | 인도어팜 | 충북 옥천터널 스마트팜
들어가기 전 넥스트온의 기술력을 알고 그 임팩트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반도체 기술 영역의 전문성을 스마트팜 영역의 인도어팜 식물공장을 설계한 노하우까지 겸비한 점까지. 대표가 곧 회사라는 이야기처럼 비전이 뚜렷한 곳임을 알 수 있었다. 아래 내용은 방송 인터뷰 내용을 가져온 사항이다. 인터뷰 내용원문 ■ 프로그램명 : 통합뉴스룸ET ■ 코너명 : 호모 이코노미쿠스 ■ 방송시간 : 12월22일(화) 17:50~18:25 KBS2 ■ 출연자 : 최재빈 넥스트온 대표 ■ 홈페이지 : http://news.kbs.co.kr/vod/program.do?bcd=0076&ref=pMenu#20201222&1 통합뉴스룸ET 통합뉴스룸ET | KBSNEWS news.kbs.co.kr [앵커] 경제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2022.11.25 -
넥스트온 | 넥스트온더테이블 | 인도어팜기술 | 스마트팜
넥스트온은 12년간 방치됐던 서울 남부터미널역 지하상가와 18년간 폐쇄됐던 충북 옥천터널 등의 공간을 스마트팜으로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인도어팜은 일반적인 스마트팜보다 상대적으로 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더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에도 유리하다. 넥스트온 기술 차별성은? 넥스트온은 또 자체 LED(발광다이오) 조명을 활용해 작물 재배비용도 줄였다. 일반 LED 조명은 온도가 67도까지 올라 겨울에도 에어컨을 틀어야 하지만, 넥스트온의 LED 조명은 35도를 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냉방비를 약 70% 절감했다. 이 같은 성과로 중소벤처기업부 K-유니콘, 국가대표 혁신기업 200 등에 선정됐다. 특히 넥스트온은 인도어팜에서 세계 최초로 저온성 딸기 양산에 성공, 대형 백화점 등에서 판매하..
2022.11.25 -
청년농업인 |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 | 지원사업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5일 제 1차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아래와 같다. 1. '더 많은' 후계 청년농지원 - 청년농 영농정착지원사업 확대·개편(4,000명 선발) - 후계농업경영인 선정 확대, 승계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 2. 보다 '쉽게' 농지·자금 확보지원 - 농지공급 규모 확대, 다양한 농지공급 방식 도입 - 융자조건(상환기간, 금리) 개선, 정부 직접투자 펀드 조성 3. '전문농업인으로' 성장' 뒷받침 - 성장단계별 맞춤형·현장형 교육 제공 - 융복합화 등 소득 다각화, 연구개발(R&D) 연계 지원 4.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공간 조성 - 임대주택 확대, 보육서비스 확충 - 농촌공간 정비, 지역단위 연계(네트워크)형성 지원 청년후계농 선발절차는..
2022.11.11 -
데이터농업 플랫폼 '팜모닝' | 생산부터 유통까지, 농업의 데이터 구축 | 그린랩스
데이터농업 플랫폼 '팜모닝'을 이용하는 농가가 30만 호를 넘어섰다. 국내 전체 농가의 '3분의 1' 가량이 사용하면서 본격적인 농가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하고 있다. 9일 데이터농업 스타트업 '그린랩스'는 지난주에 자사 애플리케이션 '팜모닝'의 회원 농가가 30만 호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통계청 기준 올해 전국적으로 98만 5,000만 호로 전망되는 농가의 30%를 넘어선 수치다. 지난해 7월 출시된 팜모닝은 120일만에 1만 회원농가를 돌파했고 8개월 만에 10만 호를 돌파한 바 있다. 이후 회원 농가 증가에 가속이 붙으면서 1년만에 30만 회원농가를 돌파한 것이다. 그린랩스는 굉장히 흥미로웠다. 생산부터 유통까지, 농업의 데이터 구축을 통해 농민의 농장 경영활동을 돕고 나아가 농업 생태계 육성..
2022.11.06 -
[IT] 스마트팜 정의/전망/이해부터 반대 기사 분석/유통업계 동향까지
기본정의 및 전망 스마트팜은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을 농·축·수산물 생산 환경에 적용한 지능형 농업 시스템을 뜻한다. 스마트팜의 종류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농가의 위치와 기후, 농작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스마트팜의 모습과 크기는 물론 운영 방법까지 달라지고 여기에 농민의 요청까지 만족하는 맞춤형 스마트팜을 구성하게 된다고 한다. 한국은 첨단형이 아닌 보급형 위주의 스마트팜이 농가에 보급되고 있어 주로 모니터링과 자동제어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한다. 한국의 IT기술과 농업의 융·복합을 기반으로 R&D(연구개발)가 꾸준히 이뤄진다면 국내 스마트팜 시장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2020년 11월 발간한 ‘스마트팜 기술 및..
2022.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