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단체와 스타트업 차이부터 제대로 이해하고 가야지
2022. 6. 14. 00:12ㆍ비즈니스 탐색/사회적경제·소셜벤처
728x90
반응형

비영리스타트업 연구수행에 있어서 매우 기초가 되는 개념부터 다시 잡는다.
추가적으로 관련 리서치를 진행하면서 실현가능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자.
사회적문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사회 속 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 기획을 실행하자. 다만 작은 범주에서 시작하자.
비영리단체들이 거점에 흡수되면, 거점의 대표가 모여 지원조직과 연결될 수 있다.
비영리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접근해보자.
비영리단체
비영리단체는 수익보다는 사회적가치를, 영리보다는 사회적 임팩트를, 돈보다는 사회혁신을 위해 활동한다.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활동영역이 확장된다는 개념으로 이해해보자.
비영리단체, 대표적인 예.
누구나 이용 가능한 컴퓨터와 네트워크 운영 체제를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리눅스와 세계 최대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가 있다. 흔히 우리가 알고있는 시민단체·모금기관·마을공동체·자원봉사기관 외에도 동창회·반상회·팬클럽 등도 비영리 단체에 포함된다.
팬덤 필란트로피 : BTS는 지난해 유니세프와 함께한 아동폭력근절캠페인에 24억원의 모금액을 조성했는데, 이 중 7억원은 BTS의 팬덤인 아미(ARMY)가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영리 스타트업
비영리 환경의 변화의 일환으로 비영리 스타트업이 등장했다. 영리추구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비영리가 ‘영리 추구 신생 벤처’인 스타트업과 만난 비영리 스타트업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솔루션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
해결 가치가 있는 문제
- 개인문제 - 사회문제
- 발생원인, 문제에 대한 범위, 피해의 정도, 미해결 시 확산성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장해요인을 해결하는 혁신
변화가 눈에 보이는 해결계획
-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 사회적 가치의 방향은 지속가능성을 향한다.
- 개방/공유/혁신/격차해소 등 개인적 가치 방향성(브랜드가치,규모,기술혁신,마케팅)과의 차이를 줄이자.
측정 가능한 변화
- 사회적 성과 측정과 소셜 임팩트
- 나의 프로젝트 존재를 기준으로 전과 후 어떤 차이가 존재할까?
728x90
반응형
'비즈니스 탐색 > 사회적경제·소셜벤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지속가능성 이해부터 소셜벤처 미션까지 어떻게 접근해볼까 (0) | 2022.08.10 |
---|---|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축제 문화기획에 대한 개념 (0) | 2022.06.16 |
[동국대학교] 사회적경제 리더과정 - 준비 / 셀프스터디 / 생각 (0) | 2022.06.13 |
문화기획 아카데미 | 지속가능한 문화기획 | 지속가능한발전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