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25. 16:31ㆍ미래가치/브랜드 기획·전략

디자이너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내가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스스로 정립하는 과정이 꽤나 중요했다. 활동디자이너 6명과 리더디자이너 1명인 나로 구성되어 마을의 디자인개선 점을 발굴하고 디자인활동을 이어가는 과정이다.
현장조사를 앞두고, 제일먼저 디자이너 학생들에게 마을에 대한 사진과 기본정보만을 1차적으로 제공하였다. 이후 모두에게 공통의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였다. 디자인을 어떻게, 왜, 강화하고 싶은지에 대한 자신만의 실행미션을 생각해보게 하였다. 디자인 활동에 있어서 자신만의 실행미션을 생각해올 것. 자신의 역량과 활동하고자 하는 미션을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해올 것. 제시한 회의안건은 아래와 같다.
회의안건
* 안건 리스트
A. 현장조사 및 문제점 파악
B. 현장답사 의견취합 및 아이디에이션 리스트업 (참여자 전원)
C. 현장답사 이후 '자신만의 실행목적(실행비전)' 자유 토론 (참여자 전원)
사실 이 시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기준은 '생각'의 깊이감은 스스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디자인이라는 수단을 통해 어떤 가치를 만들어낼지에 대한 생각을 스스로할 수 있도록, 안건리스트는 최소한으로 개요 정도로만 제안하였다.
1차 현장 관찰조사
마을 브랜드 디자인 미션현장(버스정류장, 마을 동네길)답사를 통해 주변경관, 도로, 개방공간(주차장 광장 등)을 살펴보고 기본적인 안전,보행,교통 환경을 파악하는 시간을 가졌다.
Think Aloud
현장답사 이후 '자신만의 실행목적(실행비전)'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현장답사에서 모두의 생각과 느낌, 의견은 중요한 백그라운드 정보가 된다. 모두의 생각을 데이터화 할 수 있는 기준을 설계하는 방안으로 진행한다.
Open question
Q. 마을을 둘러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어떤 느낌이었나
Closed question
Q. 마을 내 디자인을 강화한다면 어떤 접근의 전략이 기본이 되어야 하나
Think question
Q. 만약 우리가 마을 주민이라면 '어떻게 느낄 것인가. 어떤 니즈가 있을 것인가. 어떤 감성으로 공감과 이해를 바라게 될까'
JD
주민 자체에 대한 배려/자연스러운 디자인 방안으로의 방향성. 유모차에 기대신 분, 목발, 지방이를 짓고다니신 주민들의 대한 이해. 주민 연령을 고려한 방안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의견.
CJW
정돈되지 않은 느낌, 미관상 청결감에 대한 느낌. 마을 입구초에 조치원,오송,봉암리 등 버스승차시간에 대한 안내정보를 한번더 노출시켜줘서 주민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검토 의견. 쓰레기 분리수거장에 대한 디자인문제해결 방안으로 식물과 화단을 셋팅하여 관리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 자연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접근
SJY
불법개조물에 대한 기본 법률확인과 불분명한 주차장, 공터, 정자 등에 대한 공간 분명성으로 공간을 재정의. 건축물 자체에 대한 그리너리 적용 (벽 기능성 접근 : 넝쿨 식물 등으로 담장 너머의 프라이버시 기능 및 심미적 해결) 에 대한 의견
PGE
기본적인 것부터 갖추는 방안으로 전체적으로 급격한 변화보다는 버스정류장, 쓰레기, 운동기구, 의류수거함, 하나씩 정해서 시작해보고 싶다는 의견, 벽에 대한 정돈에 대한 의견.
KJ
시각적인 재미요소로 작은 표지판과 같은 시설물로의 해결에 대한 의견.
LGW
광주 펭귄마을처럼 마을 자체에 대한 디자인 강화에 대한 의견 (특정색깔. 폰트 등을 활용해 분리수거하는 곳과 헌옷수거함 디자인 정비, 가로등 눈에 띄게 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
소통 : 5Whys 방법론 활용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고 통찰력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한 사용방법론으로 5Whys 를 활용하였다. 5 Whys 방식은 도요타 생산 시스템의 일부로 알려지며 이 방법론을 설계한 사람의 말을 빌리자면 "도요타의 과학적 접근법의 기본은 왜 우리가 문제를 발견할 때마다 5번씩을 질문하는 것"이라며 "왜 5번 반복하면 문제의 본질은 물론 해결책도 명확해진다"고 말한다.
'왜' 라는 근본적인 질문반으로도 논리적인 이유와 배경을 확장하게 되는 소통방식인 점에서 손쉽게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소통할 수 있었다.
이후 새로운 디자인 해결점이 왜 필요한지, 이 프로젝트가 왜 가치가 있는지 등을 말하고 어떤 기대효과가 있는지 생각의 시간을 가졌다.
다음으로는 문제를 논의하고 명확한 문제를 진술하고, 조사할 사안의 범위를 정의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자료 리서치를 통해 마을환경/물리적환경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방법적 접근을 통해 핵심메시지 방향성을 설계하도록 하였다.
'미래가치 > 브랜드 기획·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럿 프로젝트 기록_환경인식 개선을 위한 서비스 모델 (0) | 2022.08.01 |
---|---|
마을 브랜딩 OO관점으로 설문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과정 (0) | 2022.07.29 |
나 자신을 점검하는 셀프 개선현황 리스트 기록 (0) | 2022.05.30 |
브랜드 디자이너가 발굴하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문제개선 (0) | 2022.05.24 |
[금천문화재단 | 금천뮤지컬센터] 공연 관람 후기: 추는사람 금천·천하제일악사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