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신기술] 인공지능, 메타버스, UAM 등의 기술 이해

2022. 5. 22. 10:21비즈니스 탐색/트랜드·IT서비스

728x90
반응형

[IT/신기술] 인공지능, 메타버스, UAM 등의 기술 이해



6G

이동통신 기술은 2030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학계, 산업계 등에서는 6G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6G 이동통신의 주요 특징은 인간뿐만 아니라 사물들에 의한 대량의 데이터 생성 및 소비, 고신뢰 초저지연 통신,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 전반적으로 반영되는 인공지능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현재 사용되는 5G보다 최대 50배 빠르다. 사용자의 경험적 속도는 5G 대비 10배, 지연 속도는 적어도 5G 대비 40배 이상의 저지연 특성이 요구된다.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신원증명)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원증명을 분산하여 보관하는 기술이다. 서비스 제공자의 중앙화된 시스템 통제를 탈피,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AI 반도체

AI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저전력으로 실행하는 특별한 프로세서가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AI 반도체’이다. AI 반도체는 효율성 측면이 특화된 비메모리 반도체로, AI의 핵심 두뇌에 해당된다.

AI 딥러닝(AI Deep Learning)은 많은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의 한 종류이다. 즉, 머신러닝을 구현하는 기술의 하나로 인간 뇌의 동작 방식에서 착안하여 개발한 학습 방법이다.


UAM (도심항공모빌리티)

UAM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도심항공교통’이라고 불린다. 하늘을 나는 기체를 통해 승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미래 도시 교통 체계다. UAM은 정류장이자 교통 기반 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버티포트(Vertiport), 교통정보 및 5G 통신 인프라, 플랫폼,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과 연계하는 새로운 교통 체계를 모두 포괄한다


로보틱스(robotics)

로봇(robot)과 메카트로닉스(mecatronics)의 합성어로, 기계 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 과학 등을 포괄하는 단어이다. 산업 분야를 비롯해 의료, 교육, 가정 등 서비스 분야에서 인간과 협업하거나 또는 인간을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


양자암호통신

송·수신자가 광자(Photon, 빛 알갱이)를 매개로 암호키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암호키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기술로도 불린다. 불법 접근 시 광자의 성질이 변하여 해킹 시도를 즉시 알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양자암호통신은 정보 도·감청 시도를 애초에 무력화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기술로 꼽힌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은 이용자와 가까운 기지국 주변에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설치, 데이터 전송 거리를 획기적으로 단축해 초저지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실감미디어 등 5G 특화 서비스에 꼭 필요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참조문헌]
[과학의 날 특집] SKT 미래를 이끌 혁신 기술 10가지.22.04.21

728x90
반응형